컴퓨터 활용능력

컴퓨터활용능력 1급 기출 엑셀 문제풀이 - 5 (사용자 정의 함수)

오현무 2020. 2. 17. 01:14

컴활 1급 엑셀파트의 첫번째 문제인 "기본작업"에대해서 쭉 알아봤고 이제 두번째 문제인 "계산작업"에대해서 다뤄볼텐데요.

 

"계산작업"문제는 함수로 시작해서 함수로 끝나는 엑셀파트의 꽃이라 불리우는 영역입니다.

 

많은 수험생들을 낙담하게 하는 구간인데요. 하나하나 차근차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다뤄볼 "계산작업"의 문제는 "사용자 정의 함수"입니다. 다소 생소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부분인데 "계산작업" 문제를 풀다보면 그나마 숨은 쉬게 해주는 구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계산작업"에서 일정 점수를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쉽게 풀고 넘어가야하는 문제란 말입니다.

 

완벽하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함께 문제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자 정의 함수"인 'fn총점'을 작성하여 주어진 영역의 총점을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그럼 먼저 "사용자 정의 함수"의 설정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소 어려워 보일 수 있지만 원리만 알면 쉽게쉽게 적용할 수 있는 파트입니다.

[개발도구]탭의 "Visual Basic"을 클릭하여 비주얼베이직을 실행합니다.

 

실행된 창에서 [삽입]탭에 "모듈"을 클릭합니다.

그럼 위와 같은 모듈 창이 나오는데요. 여기에 명령문을 입력하여 사용자 정의 함수를 생성하면 되겠습니다.

 

사용자 정의 함수로 쓰이는 명령문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드리겠습니다.

 

기본뼈대는 아래와 같습니다.

 

Public Function 함수이름 (인수1, 인수2)

 

End Function

 

이제 이 중간에 적절한 명령문을 삽입해야 하는데요.

 

"계산문제" 파트에 사용되는 명령문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Select case 문"과 오늘 문제에서 사용되는 "If else 문"입니다. 이 두가지 명령문은 문제에서 주어지므로 시험때에는 문제에서 주어진대로 차근차근 진행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If else 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체적인 구성은 

 

IF 조건식 then

명령어

else 

명령어

end if

 

로 구성되고, 조건이 더 세분화되어 3가지 이상으로 구간을 나눌 필요가 있다면 elseif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나타냅니다.

 

IF 조건식1 then

명령어1

elseif 조건식2 then

명령어2

else 

명령어3

end if

 

그럼 이를 토대로 모듈창에 명령문을 적어보겠습니다.

 

 

위의 형태로 작성하면 조건문이 완성됩니다.

 

그럼 이제 엑셀화면으로 넘어와서 만들어놓은 "fn총점" 함수를 활용해볼텐데요.

 

[수식]탭"함수삽입" 버튼을 누르면 "함수마법사"창이 나옵니다.

 

그럼 "범주선택"에서 "사용자 정의"를 선택한 뒤, 방금 만든 "fn총점" 함수를 클릭합니다.

 

그럼 인수에 맞게 셀을 선택하여 각 인수를 설정해준 뒤에 확인 버튼을 누르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드래그로 내리면 각 셀별 함수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사용자 정의 함수" 문제를 함께 풀어봤는데요. 사용자 정의 함수에 쓰이는 용어가 익숙치 않다보니 다소 생소한 느낌이 나지만 몇번 해보다보면 굉장히 쉬운 함수 문제인것을 알 수 있을것입니다.

 

어렵다고 지레 겁먹고 포기하지 마시고 "계산작업"에서 점수를 먹고 가는 문제인 만큼 잡고 들어가면 합격에 한발자국 더 다가설 수 있을겁니다.

 

제가 본문에서 말한 "If else 문"과 "Select case 문"은 계속 연습해보면서 최대한 손에 익숙하게끔 하는것이 중요합니다.